-
복리와 단리, 금리가 같아도 최종 수령액은 다릅니다. 월 30만 원 적금만으로도 수십만 원 차이 나는 이자 계산의 비밀을 확인하세요!
복리와 단리, 정확히 어떤 차이일까요?
많은 사람들이 적금을 가입할 때 **"연 몇 퍼센트 이자냐"**만 확인하고,
그 이자가 단리인지 복리인지는 잘 따지지 않습니다.
하지만 바로 이 부분이 1년 이상 저축 시 수익 차이를 크게 만듭니다.- 단리란?
→ 매번 원금에만 이자가 붙는 방식입니다.
예: 매달 100만 원을 넣고, 연 5% 이자면 → 원금에만 이자가 붙음 - 복리란?
→ 이자에 또 이자가 붙는 방식입니다.
예: 첫 달 이자가 다음 달 원금에 포함되어 이자 계산 대상이 됨
즉, 복리는 시간이 지날수록 이자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구조이고,
단리는 아무리 오래 넣어도 원금에만 일정 비율의 이자만 붙습니다.실제 계산 비교 – 1년간 30만 원씩 저축 시
조건
- 매달 30만 원씩 납입
- 만기: 1년
- 금리: 연 5.0%
- 이자소득세 제외한 세전 기준
항목 단리 적금 복리 적금 총 납입금액 3,600,000원 3,600,000원 총 이자 약 92,000원 약 94,700원 총 수령액 3,692,000원 3,694,700원 수치 차이는 작아 보이지만, 금액과 기간이 늘어나면 차이는 기하급수적으로 커집니다.
장기 저축일수록 복리가 유리한 이유
복리의 진짜 힘은 시간이 지날수록 나타납니다.
예를 들어, 월 50만 원씩 5년간 연 5% 적금을 들 경우:
- 단리 기준: 약 33,000,000원
- 복리 기준: 약 33,600,000원 → 60만 원 이상 차이 발생!
왜 그럴까요?
복리는 ‘복잡하게 늘어난 이자’에 또 이자가 붙기 때문에,
매년 불어나는 자금의 규모가 커집니다.
특히 3년 이상 중장기 저축자에게는 복리 상품이 훨씬 유리합니다.어떤 상품이 복리?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?
많은 은행 적금은 기본적으로 ‘단리 방식’입니다.
하지만 일부 특화 상품은 복리 적금으로 제공되며,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:
은행 상품명 복리 적용 여부 금리 토스뱅크 자유적금 복리 최대 4.5% 카카오뱅크 정기적금 단리 최대 4.0% NH농협 e-파킹통장 일복리 수시입출금 신한은행 S드림 적금 월복리 조건부 우대 복리 여부는 상품 설명서에서 ‘이자 계산 방식’ → ‘복리 적용’ 여부로 반드시 확인하세요!
복리와 단리, 어떤 사람이 각각 선택하면 좋을까?
유형 추천 이자 방식 이유 단기 저축 (6개월~1년) 단리 이자 차이 거의 없음, 상품 다양 장기 저축 (3년 이상) 복리 복리 효과 극대화 고정 납입 가능 단리 or 복리 정기적금 금리 혜택이 큼 유동적 수입 복리 자유적금 납입금 조절 가능 + 복리 적용 수시입출금 원함 복리 CMA 하루만 맡겨도 이자 발생 결론 요약
- 단리: 단기 저축에 적합, 상품 선택 폭 넓음
- 복리: 중장기 저축 시 수익률 우수, 복리 효과 큼
- 5년 이상 적금은 무조건 복리 확인!
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
'돈이 되는 생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MA vs 적금, 뭐가 더 나을까? (0) 2025.07.13 매달 30만 원 저축, 1년 후 얼마 될까? (0) 2025.07.12 신용카드와 체크카드, 어떤 걸 먼저 써야 할까? (0) 2025.07.09 무직자 신용카드 발급 가능한 방법 정리 – 2025년 현실적 가이드 (0) 2025.07.08 6개월 대출 줄이기 챌린지 – 빚 걱정 없는 일상으로 가는 전략 (0) 2025.07.07 연체 없이 대출 줄이는 전략 – 이 순서로 갚으세요 (0) 2025.07.06 카드값 연체되면 생기는 일들 – 신용 점수 급락 주의 (0) 2025.07.05 소액 대출 후 신용점수 관리 전략 – 점수 깎이지 않고 되레 올리는 법 (0) 2025.07.04 - 단리란?